본문 바로가기
📂 정부 지원 정보/출산 정책

2025년 6+6 육아휴직제도 완벽 정리|부부가 월급 100% 받는 법!

by 또씬 2025. 4. 23.

 

"육아휴직 쓰고도 월급 100% 받는 법이 있다고?"

 

2025년, 직장인 부모라면 꼭 알아야 할 제도가 있습니다.
바로 ‘6+6 육아휴직제도’인데요!
단순히 쉬기 위한 휴직이 아니라, 부부가 순서대로 사용하면 월급을 더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
많은 분들이 "100% 지급"이라는 말에 혹하지만,
월별 상한액이 있다는 점도 꼭 알고 계셔야 해요!

 

지금부터 6+6 육아휴직제도의 진짜 혜택과 조건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👇

 

 


 

✅ 6+6 육아휴직제도란?

 

부모가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
순서대로 각각 6개월씩 육아휴직을 사용하면,
두 번째 사용자는 **6개월 동안 통상임금의 최대 100%**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
하지만 월별 상한액이 정해져 있어서, 무조건 '월급 그대로' 받는 건 아닙니다.

 

 


 

💰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표

 

월차 급여 지급률 상한액
1~2개월 통상임금의 100% 250만 원
3개월 통상임금의 100% 300만 원
4개월 통상임금의 100% 350만 원
5개월 통상임금의 100% 400만 원
6개월 통상임금의 100% 450만 원

※ 통상임금이 상한액보다 낮으면 그대로 100% 지급, 초과 시 상한 적용

 

 


 

📝 신청 자격 & 방법

 

  • 대상: 만 8세 이하 자녀(또는 초등 2학년 이하) 부모
  • 조건: 고용보험 가입자 + 동일 사업장 6개월 이상 근무
  • 신청 방법: 고용보험 사이트 또는 고용센터 방문
  • 신청 시기: 육아휴직 시작일 이후 1개월부터 신청 가능

 


 

🎯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 (예시)

 

세전 월급 270만 원인 경우👇

 

월차 예상 수령액
1~2개월 250만 원 (상한 적용)
3개월 270만 원 (100% 지급)
4~6개월 270만 원 (상한 미적용)

 

➡️ 6개월 총액 = 약 1,580만 원

 

 


 

❗ 꼭 알아야 할 점

 

  • 부부가 동시에 사용하면 혜택 불가, 반드시 순서대로 사용
  • 6개월 이후부터는 기존 육아휴직 급여(통상임금 50%, 상한 150만 원) 적용
  • 육아휴직 급여는 비과세, 계산된 금액 그대로 통장 입금

 


 

✅ 마무리 멘트

 

단순한 휴식이 아니라, 정부가 보장하는 소득 안정제도인 6+6 육아휴직!
눈치 보지 말고 똑똑하게 활용해서,
가족과의 소중한 시간을 충분히 누려보세요!

지금 바로 회사와 상의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😊

 

 

웃으며 아기를 안고 있는 신혼부부의 따뜻한 일러스트 – 6+6 육아휴직제도로 가족과 시간을 보내는 모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