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📂 정부 지원 정보/출산 정책

2025년 서울시 임신·출산 지원금 총정리|첫만남 이용권부터 육아휴직 급여까지

by 또씬 2025. 5. 14.

 

 

 

 

2025년 서울시 임신·출산 지원금 총정리|첫만남 이용권부터 육아휴직 급여까지

 

 

👶 2025년 서울시 임신·출산 지원금 총정리

 

첫만남 이용권부터 육아휴직 급여까지 꼭 챙기세요!

 

서울에 거주하며 출산을 앞두고 있다면,
정부 + 서울시가 제공하는 출산지원금을 꼭 챙기셔야 합니다.

 

출산 시점부터 신청 가능한 바우처, 현금 지원, 육아 물품, 산후조리 도우미, 수당까지
모르면 놓치기 쉬운 혜택을 2025년 기준으로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 👇

 

 

 


 

🗂️ 2025년 서울시 임신·출산 지원금 종류 비교표

 

지원항목 지원내용 신청방법
첫만남 이용권 200만 원 바우처 (출생아 1인 기준) 정부24 또는 복지로
서울형 출산지원금 자치구별 상이
예) 강남구: 첫째·둘째 각 200만 원, 중랑구: 30만 원 등
출생신고 후 주민센터
출산축하용품 기저귀·아기용품 등 출산 꾸러미 택배 지원 구청 또는 보건소
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 산후도우미 파견 최대 15일 (정부+지자체 공동지원, 소득기준 있음) 복지로 또는 건강보험공단
부모급여 (구 영아수당) 만 0세 월 100만 원, 만 1세 월 50만 원 현금 지급
(가정양육 기준)
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아동수당 만 8세 미만 아동 월 10만 원현금 (부모급여와 중복 수령 가능)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육아휴직 급여 통상임금의 100%, 최대 250만 원/월
(1~3개월), 이후 200만 원/월, 160만 원/월 차등
고용보험 또는 사업장 신청
 

✅ 위 표는 2025년 서울시 기준 임신·출산 관련 대표적 지원 항목을 정리한 것으로,
신청 시기나 거주지에 따라 중복 수령 가능합니다.

 

 


 

💡 주요 항목 자세히 보기

 

1️⃣ 첫만남 이용권 (바우처 200만 원)

  • 출생아 1인당 지급되는 바우처
  • 국민행복카드에 충전 → 병원·약국·육아용품 등에 사용 가능

 

2️⃣ 서울형 출산지원금

  • 지자치구별 상이
  • 예) 강남구: 첫째·둘째 각 200만 원, 중랑구: 30만 원 등

 

3️⃣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

  • 출산 후 산모 회복을 돕기 위한 산후도우미 지원제도
  • 소득기준 충족 시 정부 + 지자체가 비용 지원

 

4️⃣ 영아수당

  • 만 0세 월 100만 원, 만 1세 월 50만 원 현금 지급 (가정양육 기준)
  • 보육시설 이용 시 감액됨

 


 

❗ 지원금 신청 시 꼭 알아야 할 팁

구분 유의사항
신청 기한 일부 혜택은 출생일 기준 60일 이내 신청 필수
중복 가능 여부 첫만남 이용권 + 출산지원금 + 영아수당 등 대부분 중복 수령 가능
대상 조건 서울시 거주자 또는 신청일 기준 전입 완료 상태여야 함
준비 서류 출생신고서, 통장사본, 주민등록등본 등 온라인 신청 전 사전 준비 권장

 

 

 

 

✅ 마무리 요약

 

2025년에도 서울시는 전국 최고 수준의 출산지원 혜택을 제공 중입니다.
하지만 대부분의 제도는 신청기한이 존재하며
👉 몰라서 못 받는 경우도 매우 많습니다.

 

✔️ 출산 전후 복지로/정부24 미리 가입
✔️ 출생일로부터 30~60일 내 신청
✔️ 구청·보건소·고용센터 등 신청처 분산 주의

 

지금 바로 본인 상황에 맞는 지원 항목 확인하고 챙기세요!

 

 

 

서울시 임신·출산 지원금 정책을 상징하는 일러스트: 아기를 안은 부모와 서울 배경, 첫만남 이용권, 출산축하금, 육아휴직 급여 아이콘 포함